이모티콘 만들기

이모티콘 제작방법(카카오심사 승인 관련 팁!)

호듕이 2020. 11. 4. 21:30

안녕하세요. 호듕입니다.

지난 이모티콘 제작방법 관련해서 제일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

언급을 드리는 것이 가장 맞을 거 같아서

오늘은 카카오 심사 승인 관련 팁에 대해서 알려드려고 해요.

 

카카오에서는 기존 작가들도 새로운 이모티콘을 판매하려면 무조건

처음과 같이 심사를 거치도록 되어있어요.

그만큼 카카오에서는 투명하게 이모티콘 심사를 하고 있고,

이모티콘 심사에 통과된다는 것 자체가 정말 어렵다는 거죠.

 

하지만 이런 기준들 때문에 더욱 메리트가 있고,

작가가 아닌 초보라고 할지라도 충분히 도전을 해볼 수 있어요.

 

저는 이런 카카오 심사기준이나 프로세스에 대해서 높게 평가해요.

 

자 그럼, 오늘 카카오 심사 승인 관련 팁에 대해서 알려드릴 텐데요,

이 정보는 4년간 이모티콘 작가로 준비하고 심사에 미승인도 받아보며

경험한 것이지만, 누구나 알고 있을 수 있는 것들이에요.

 

1. 독창성 (개성)

카카오 측에서는 그림 실력보다 더 중요시 여긴다고 생각 드는 건 아무래도

이모티콘의 개성 독창성이라고 생각해요.

종종 이모티콘 샵에서 인기 작가 작품을 보면 이런 건 나도 그리겠다 하는

그런 것들도 많죠? 즉, 카카오 측에서는 이모티콘의 개성을 중요시하고

그 비중이 그림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어요.

 

단, 그림을 못 그려도 아이디어만 좋으면 된다?

이게 아닌 이모티콘의 콘셉트에 맞는 캐릭터가 그려졌을 때,

확실히 개성이 잡힌다는 점!! 꼭 인지해주세요.

 

아이디어가 있다면 그 아이디어를 어떤 재미 요소로 표현하는지

그 부분이 제일 중요한 거 같아요.

 

 

2. 정확한 메시지 전달

이모티콘은 대화 속에서 사용하는 만큼 명확하고 정확한 메시지 전달이 중요하죠.

때문에 카카오에서도 이 부분에 대해서 중점을 두는 거 같아요.

메시지는 피곤 해인데 그림에서 그런 느낌을 주지 않는다면 명확한 전달이 아니니,

각 콘티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도 중요해요.

 

 

3. 다양한 포즈나 표현

앞서 이모티콘 만드는 방법에서 말씀드렸던 부분인데요,

처음 작업할 때 큰 작업 사이즈에서 작업을 하는 게 좋다고 말씀드린 부분도

바로 이 부분 때문이에요.

왜냐면 하나하나만 놓고 보면 전체적인 느낌을 못 보고 계속 작업을 하게 돼요.

그렇게 하다 보면 다 완성이 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보면 캐릭터의 포즈나 표현들이

중복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이 많을 수 있어요.

 

이건 저의 예상과 추측으로 말씀드리는 것이지만,

실제로 이 부분에 대해서 신경 써서 작업을 했을 때,

심사에 미승인되는 경우는 아직까지 없었어요.

때문에, 카카오 측에서 이 점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중점을 두지 않나 생각해요.

 

캐릭터의 다양한 포즈와 다양한 표현들을 사용해서

전체적으로 중복돼 보이거나 똑같은 느낌을 주는 그런 것들을

피해서 작업을 하신다면 심사에서 승인될 수 있는 확률도 그만큼

올라갈 수 있을 거예요.

 

 

4. 서두르지 마세요.

이건 저의 경험담 이지만,

대부분 컨셉을 정하고 캐릭터를 정하고 콘티를 완성하면

끝이라고 생각한 뒤, 바로 심사에 올리죠.

하지만, 심사에 올리지 말고 완성된 콘티들을 보면서

천천히 시간을 가지고 계속 생각을 하는 거에요.

그러다보면 그 콘티들은 더 다듬어지고 더 다양한 아이디어들로

수정을 할 수 있어요.

때문에, 저는 작업이 완료가 되도 거진 2주 정도를

심사에 올리지 않고 계속 지켜보면서 추가적인 아이디어나

수정부분에 대해서 곰곰히 고민을 하고 수정하고 하면서

심사에 올리는 편이에요.

실제로 이렇게 했을 때, 심사에 승인된 이모티콘들이 더 많았습니다.

 

 

오늘 이렇게 심사 승인 관련 팁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이 부분들은 모두 제가 지금까지 경험하면서 얻은 지식이나 방법이기 때문에

무조건 정답은 아니에요. 하지만, 실제로 이렇게 했을 때,

결과가 좋았기때문에 알려드리는 점이라는 거 참고해주세요!